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로드밸런싱 DNS VS GSLB

by bzerome240 2022. 9. 8.

DNS (Domain Name System)

https://velog.io/@bbumjun/What-is-DNS

  •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hostname)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DNS 서버가 필요합니다.
  • 일반적인 로드밸런싱 기법입니다.
  • Round-Robin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서버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DNS 서버 4종류

1 DNS Recursive Resolver

2 DNS Root Nameserver

3 DNS TLD Nameserver

4 Autoritative Nameserver

도메인을 찾을 때는 뒤에서부터 찾는다.
ex) en.wikipedia.org
. -> org -> wikipedia -> en


DNS caching

DNS 주소찾는 과정에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한번 얻은 IP주소를 계속 사용한다.

1 Browser caching

2 OS level caching

3 Recursive Resolver caching


리눅스 DNS 설정

/etc/resolv.conf 에 있다.

 

장점

저렴한 비용, 간단한 구성, 유지관리 쉬움

단점

헬스체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를 찾지 못하는 상황 발생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https://www.daouidc.com/idc-service/loadbalancer.do

  • DNS의 발전형태로 health check와 active/backup을 지정 가능하게 하여 재해 복구(DR), 지역적인 부하분산, 응답시간 중심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 사용자의 위치, 서버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서버로 할당합니다.

 

GSLB 주요 기능

performance

client의 request를 네트워크상 가까운 서버로 연결할 수 있다.

트래픽을 지역에 맞게 분산 가능하다.

customized cnotent

지역, 언어별로 커스텀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disaster recovery

네트워크 장애나 데이터센터 장애 등 발생 시 다른 지역 서버로 redirect 해서 HA 구성이 가능하다.

maintenance

연결 규칙이나 구성이 변경 가능해야한다.

compliance

국가나 지역의 규제에 맞게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장점

헬스체크를 하기때문에 장애 발생 시 대응 가능

단점

L4/L7 스위치가 필요하기때문에 비용과 관리가 필요

 

 


 

 

 

서비스 중요도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글로벌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노출이 필요하다면 GSLB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 설정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조

 

 

네트워크 부하분산 Load Balancing(DNS vs GSLB)

Load Balancing 는 네트워크를 구성할때 서버들의 부하분산을 위해서 적용하는 개념입니다. Load Balance를 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 인데, DNS레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의 부하 분산 L4/L7 스위치를 이용한 G

lifeplan-b.tistory.com

 

React App

 

cloud.kt.com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er와 Switch, Switch와 Hub  (3) 2024.10.26
Blocking Non-Blocking  (0) 2024.10.06
LoadBalancing 방법, 설계  (0) 2023.01.02
TCP/IP, TCP, UDP 란?  (0) 2023.01.01

댓글